캠프 5주 4일차 TIL
오늘
후발대 강의로 django강의를 해주셨다. 개인과제도 팀프로젝트도 저게 왜 저 긴가? 하는 궁금증만 안고 복붙 해서 쓰고 나중에 공부하겠지?라는 마음으로 넘겼는데 오늘 강의를 통해서 세세한 내용들을 공부하게 됐다. 일단 Foreign Key를 제대로 이해하게 됐다. 포린키는 sql강의에서 join과 같다고 생각해도 된다고 하셨다. 그리고 제일 웃겼던 건 sql 시작할 때 select xxxx from xxxxx이었는데 이게 from xxxx import xxxx이라고 했다.. django 문법과 sql문법의 차이라고 설명해 주셨을 때 진즉 알았더라면.. 싶었다. 내가 집중을 안 한 건가 강의에 나오지 않은 건가...? 그리고 다른 Key값에 대해서 설명해 주셨다 이제부턴 약어로 작성하겠다.
FK : Foreign Key
UK : Unique Key
PK : Primary Key
FK는 위에 설명했고
UK는 중복값을 허용하지 않는다.라고 하셨다.
PK는 테이블(sql강의땐 테이블은 칼럼이라 배운 거 같은데 음.... 뭐라고 설명해 야하지 이미지로 해야겠다. 이 부분은)에서 반드시 한 개의 pk가 존재해야 한다.
테이블은 아래그림처럼 전체를 말한다고 했다.(sql강의를 다 시들어봐야 하나... 필드랑 테이블을 헷갈리고 있는 건가 내가?)
User 테이블 | ||||||
id (django에서는 pk값이 자동생성된다.) |
username | password | created_at | updated_at | phone | |
1 | 철수 | 123 | a@b.c | 2023/04/13 21:14 | 2023-04-13 | 010-111-2222 |
2 | 민수 | 234 | d@e.f | 2023/04/13 21:14 | 2023-04-13 | 010-2222-3333 |
3 | 영희 | 345 | g@h.i | =NOW() |
=TODAY() | 010-3333-4444 |
fk를 사용할 경우에는 참조할 테이블에 pk값을 보게 된다.
예를 들어서 코멘트테이블이 코멘트테이블을 보면 코멘트테이블에서 id값을 이어받게 된다.
오늘의 규파팡이 느낀 점!
프로젝트 때문에 바빠서 오늘의 느낀 점은 내일의 진규에게 맡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