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일지?/내배캠

캠프 6주 3일차 TIL

규파팡 2023. 4. 19. 19:01

오늘

장고심화강의를 집중해서 들었다. 어제 2주 차까지 들었지만 기억이하나도 안 나는 관계로 다시 또 들었다(어느 순 간부터반복이 일상이 됐다... 나쁜 건가? 더뎌도 확실하게 나가는 건가? 과연 확실할까?) 

URI와 URL, URN의 차이를 먼저 공부했다.

  • URL, URN 은 URI에 포함되는 개념이며 URL은 자원의 위치, URN은 자원의 이름을 의미한다.
  • URI는 식별하고, URL은 위치를 가리킨다.

URN (Uniformed Resource Name)

  • 프로토콜 포함하지 않습니다.
  • 해당 자원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 독립적인 자원 지시자입니다.
  • Page 이후 부분까지 포함합니다.
  • 예제) urn:isbn:0-395-36341-1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URL은 흔히 웹 주소라고도 하며,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리소스가 어디 있는지 알려주기 위한 규약이다. URI의 서브셋이다.
  • 프로토콜 포함합니다.
  • 해당 자원의 위치, Path를 의미합니다.
  • 일반적으로 사이트 도메인을 자주 의미합니다.
  • 웹 상뿐만 아니라 컴퓨터 네트워크 상의 자원은 모두 나타낼 수 있다.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URI는 특정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의미한다. 웹 기술에서 사용하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 리소스를 식별하는 고유한 문자열 시퀀스다.
  • URI안에 하위 개념으로 URN, URI가 존재합니다.

일반 URI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나타낸다.

scheme:[//[user[:password]@]host[:port]][/path][?query][#fragment]
  1. scheme : 사용할 프로토콜을 뜻하며 웹에서는 http 또는 https를 사용
  2. user와 password : (서버에 있는)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사용자의 이름과 비밀번호
  3. host와 port : 접근할 대상(서버)의 호스트명과 포트번호
  4. path : 접근할 대상(서버)의 경로에 대한 상세 정보
  5. query : 접근할 대상에 전달하는 추가적인 정보 (파라미터)
  6. fragment : 메인 리소스 내에 존재하는 서브 리소스에 접근할 때 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이상 오늘의 URI,URL,URN정리이다.

이건 몇 번 더 공부해야 이해되겠다 URI안에 URL이 있는데 URL이 더 좋은 거란 글도 있고 확실한 건 URN은 아니란 것 하나뿐 여기서 궁금한 건...... 왜 하위인데 상위보다 더 많은 정보를 품고 있는 예시들이 있는 걸까? 프로토콜개념의 scheme이 붙으면 URL이라 하고 안 붙고 string이면 URI라니.... 설명해 줄 사람 찾아봐야겠다... (잘못된 글을 읽은 걸까?)

 

그리고 오늘 배운 것 중 신기했던 것!

def __str__(self):
	return str(self.title)

이게 나는 왜 있는지 몰랐는데 models.py 에서 만들어준 변수로 출력되게 해 주는 함수였다!

오늘의 규파팡이 느낀 점!

원래 이상한 거 투성이지만 오늘은 저 하나로 이상한 거 천지인느낌...

TIL 대표이미지

 

'개발일지? > 내배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캠프 6주 5일차 TIL  (0) 2023.04.21
캠프 6주 4일차 TIL  (0) 2023.04.20
캠프 6주 2일차 TIL  (0) 2023.04.18
캠프 6주 1일차 TIL  (2) 2023.04.17
WIL 5주차 - 내배캠  (0) 2023.04.16